레이블이 lsmemopt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. 모든 게시물 표시
레이블이 lsmemopt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. 모든 게시물 표시

2023년 7월 5일 수요일

lsmemopt에서 -r lpar에 대한 점수와 --id 'lpar_id' 에 대한 점수가 달라요!

 

lsmemopt 사용시, -r lpar를 주어서 보는 점수와, --id (lpar_id)를 주어서 보는 점수가 각각 다르게 나와 이상하게 여기실 수 있습니다.


lsmemopt 사용시 --id 등을 주었을 때와 주지 않았을 때의 차이점은, 결국 system 전체에 대한 score (curr_sys_score)이냐 각각의 lpar에 대한 score (curr_lpar_score)이냐의 차이입니다.  


즉, -r sys를 주고 수행하면 언제나 시스템 전체에 대한 점수, 즉 curr(predidcted)_sys_score를 보여주고, -r lpar를 주고 수행하면 언제나 각각의 lpar 레벨에서의 점수, 즉 curr(predidcted)_sys_score를 보여줍니다.  


그냥 -r 옵션을 아예 안 쓰고 그냥 --id 만 주고 수행할 수도 있으나, -r 옵션을 생략하면 그건 언제나 default 옵션인 -r sys로 간주되기 때문에 항상 시스템 전체에 대한 점수인 curr(predidcted)_sys_score 값을 보여줍니다.



hscroot@icchmc:~> lsmemopt -m Server-8286-42A-SN84D7B4V -r sys -o calcscore

curr_sys_score=92,predicted_sys_score=98,requested_lpar_ids=none,protected_lpar_ids=none

: 즉, 전체 시스템의 현재 점수는 92점인데 최적화를 통해 98점까지 올라갈 수 있다는 뜻입니다.


hscroot@icchmc:~> lsmemopt -m Server-8286-42A-SN84D7B4V -r lpar -o calcscore

lpar_name=s824_vios2,lpar_id=1,curr_lpar_score=100,predicted_lpar_score=100

lpar_name=AIX7100_04_08,lpar_id=2,curr_lpar_score=0,predicted_lpar_score=90

lpar_name=s824_vios1,lpar_id=3,curr_lpar_score=100,predicted_lpar_score=100

lpar_name=AIX72CloudVM_00,lpar_id=4,curr_lpar_score=100,predicted_lpar_score=90

lpar_name=DB2CF01,lpar_id=5,curr_lpar_score=none,predicted_lpar_score=none

lpar_name=kctest,lpar_id=8,curr_lpar_score=100,predicted_lpar_score=100

lpar_name=bsyu-test1,lpar_id=9,curr_lpar_score=100,predicted_lpar_score=100

lpar_name=aix-test-02-71188692-0000000e,lpar_id=10,curr_lpar_score=none,predicted_lpar_score=none

: 여기서 모든 lpar들의 점수는 위치에 따라서 제각각입니다만 대부분 100점이고 (일부 lpar들은 not activated 상태입니다) 최적화 이후 점수도 100점입니다.  다만 lpar_id 4인 AIX72CloudVM_00 lpar는 현재 점수가 100점인데 최적화 이후 점수는 90점으로 오히려 줄어듭니다.  이는 현재 점수가 0점인 AIX7100_04_08 (lpar_id=2)를 최적화하여 90점으로 끌어올리려면 lpar_id 4의 점수가 다소 희생된다는 뜻입니다.


여기서 -r lpar를 빼고 그냥 --id만 줘서 lsmemopt를 돌리면 HMC에서는 이를 -r sys라고 간주하고 항상 system 점수를 보여줍니다.  따라서 --id 값을 무엇으로 지정하든 항상 똑같은 점수, 즉 전체 시스템 점수인 현재 점수 92점과 향후 점수 98점이 보여집니다.  자세히 보시면 curr_lpar_score가 아니라 curr_sys_score가 display됩니다.


hscroot@icchmc:~> lsmemopt -m Server-8286-42A-SN84D7B4V --id 9 -o calcscore     

curr_sys_score=92,predicted_sys_score=98,requested_lpar_names=bsyu-test1,requested_lpar_ids=9,protected_lpar_ids=none


hscroot@icchmc:~> lsmemopt -m Server-8286-42A-SN84D7B4V --id 2 -o calcscore

curr_sys_score=92,predicted_sys_score=98,requested_lpar_names=AIX7100_04_08,requested_lpar_ids=2,protected_lpar_ids=none


hscroot@icchmc:~> lsmemopt -m Server-8286-42A-SN84D7B4V --id 10 -o calcscore

curr_sys_score=92,predicted_sys_score=98,requested_lpar_names=aix-test-02-71188692-0000000e,requested_lpar_ids=10,protected_lpar_ids=none


이렇게 시스템 전체 점수만 보여줄 것이면 --id를 지정하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느냐고 반문하실 수 있는데, 실제로 큰 의미는 없습니다.  그러나 반대로 --xid를 지정하는 것은 큰 의미가 있습니다.  --xid는 해당 lpar는 최적화 작업에서 제외시키라는 뜻입니다.  즉, 해당 lpar가 매우 중요한 시스템이라서 그 lpar는 건드리지 않고 최적화 작업을 하면 전체 시스템 점수가 어떻게 될 것인가를 알고 싶을 때 요긴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.


가령 아래에서 lpar_id 5번은 최적화 작업에서 제외시키더라도 전체 curr_sys_score 92점이 predicted_sys_score 98점으로 개선되는 것에 별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.  


hscroot@icchmc:~> lsmemopt -m Server-8286-42A-SN84D7B4V --xid 5 -o calcscore

curr_sys_score=92,predicted_sys_score=98,requested_lpar_ids=none,protected_lpar_names=DB2CF01,protected_lpar_ids=5


하지만 아래처럼 lpar_id 2번를 최적화 작업에서 제외시키는 경우, 현재 점수와 향후 점수가 똑같이 92점인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.  즉, lpar_id 2번을 제외하면 전체 최적화 작업에서 거의 나아지는 것이 없습니다. 


hscroot@icchmc:~> lsmemopt -m Server-8286-42A-SN84D7B4V --xid 2 -o calcscore

curr_sys_score=92,predicted_sys_score=92,requested_lpar_ids=none,protected_lpar_names=AIX7100_04_08,protected_lpar_ids=2


2021년 7월 20일 화요일

DPO (Dynamic Platform Optimizer) 사용 방법

 

먼저 전체 시스템의 현재 DPO score를 계산해봅니다.


hscroot@icchmc:~> lsmemopt -m Server-8286-42A-SN84D7B4V -r sys -o currscore

curr_sys_score=67


각 LPAR 별로 현재 점수가 어떤지 계산해봅니다.


hscroot@icchmc:~> lsmemopt -m Server-8286-42A-SN84D7B4V -r lpar -o currscore

lpar_name=s824_vios2,lpar_id=1,curr_lpar_score=100

lpar_name=aaaa,lpar_id=2,curr_lpar_score=100

lpar_name=s824_vios1,lpar_id=3,curr_lpar_score=100

lpar_name=AIX72CloudVM_00,lpar_id=4,curr_lpar_score=90

lpar_name=DB2CF01,lpar_id=5,curr_lpar_score=100

lpar_name=aysun-05955fd8-00000006,lpar_id=6,curr_lpar_score=100

lpar_name=AIX7200_04_02_cldrdy,lpar_id=7,curr_lpar_score=51

lpar_name=tibero6,lpar_id=8,curr_lpar_score=50

lpar_name=RHEL_7.7,lpar_id=9,curr_lpar_score=100

lpar_name=kbs-ha01,lpar_id=10,curr_lpar_score=100

lpar_name=kbha02,lpar_id=11,curr_lpar_score=100


위에서 붉은 색으로 표시한 ID 7번 파티션을 DPO로 최적화하는 경우, 가능한 to-be 점수가 어떻게 되는지 산정해봅니다.


hscroot@icchmc:~> lsmemopt -m Server-8286-42A-SN84D7B4V -r lpar -o calcscore --id 7

lpar_name=s824_vios2,lpar_id=1,curr_lpar_score=100,predicted_lpar_score=100

lpar_name=aaaa,lpar_id=2,curr_lpar_score=100,predicted_lpar_score=100

lpar_name=s824_vios1,lpar_id=3,curr_lpar_score=100,predicted_lpar_score=100

lpar_name=AIX72CloudVM_00,lpar_id=4,curr_lpar_score=90,predicted_lpar_score=90

lpar_name=DB2CF01,lpar_id=5,curr_lpar_score=100,predicted_lpar_score=100

lpar_name=aysun-05955fd8-00000006,lpar_id=6,curr_lpar_score=100,predicted_lpar_score=100

lpar_name=AIX7200_04_02_cldrdy,lpar_id=7,curr_lpar_score=51,predicted_lpar_score=100

lpar_name=tibero6,lpar_id=8,curr_lpar_score=50,predicted_lpar_score=100

lpar_name=RHEL_7.7,lpar_id=9,curr_lpar_score=100,predicted_lpar_score=100

lpar_name=kbs-ha01,lpar_id=10,curr_lpar_score=100,predicted_lpar_score=100

lpar_name=kbha02,lpar_id=11,curr_lpar_score=100,predicted_lpar_score=100


위와 같이 100점 만점으로 최적화될 수 있습니다.  뿐만 아니라 그 밑의 ID 8번 파티션도 함께 최적화되어 점수가 100점이 되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.


먼저 ID 7번 파티션의 SRAD 상태가 어떤지 확인해봅니다.


/ # lssrad -av

REF1   SRAD        MEM      CPU

0

          0   53463.19      0-3 12-15 24-27 36-39 48-51 60-63 76-79 92-95 108-111 124-127 140-143 156-159 172-175 188-191 204-207 220-223 236-239 252-255

          3   36105.00      72-75 88-91 104-107 120-123 136-139 152-155 168-171 184-187 200-203 216-219 232-235 248-251

1

          1   53037.00      4-7 16-19 28-31 40-43 52-55 64-67 80-83 96-99 112-115 128-131 144-147 160-163 176-179 192-195 208-211 224-227 240-243

          2   52539.00      8-11 20-23 32-35 44-47 56-59 68-71 84-87 100-103 116-119 132-135 148-151 164-167 180-183 196-199 212-215 228-231 244-247


별로 좋지는 않네요.  다음과 같이 7번 파티션에 대해 DPO 최적화를 수행하도록 optmem 명령을 수행합니다.


hscroot@icchmc:~> optmem -m Server-8286-42A-SN84D7B4V -o start -t affinity --id 7


이건 작은 시스템이라서 1~2분이면 완료됩니다.  점수를 다시 확인해봅니다.


hscroot@icchmc:~> lsmemopt -m Server-8286-42A-SN84D7B4V -r lpar -o currscore

lpar_name=s824_vios2,lpar_id=1,curr_lpar_score=100

lpar_name=aaaa,lpar_id=2,curr_lpar_score=100

lpar_name=s824_vios1,lpar_id=3,curr_lpar_score=100

lpar_name=AIX72CloudVM_00,lpar_id=4,curr_lpar_score=100

lpar_name=DB2CF01,lpar_id=5,curr_lpar_score=100

lpar_name=aysun-05955fd8-00000006,lpar_id=6,curr_lpar_score=100

lpar_name=AIX7200_04_02_cldrdy,lpar_id=7,curr_lpar_score=100

lpar_name=tibero6,lpar_id=8,curr_lpar_score=100

lpar_name=RHEL_7.7,lpar_id=9,curr_lpar_score=100

lpar_name=kbs-ha01,lpar_id=10,curr_lpar_score=100

lpar_name=kbha02,lpar_id=11,curr_lpar_score=100


7번 뿐만 아니라 8번, 그리고 심지어 90점 정도가 될 거라고 했던 4번 파티션도 다 100점 만점으로 변화한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.


실제로 그런지 7번 파티션 속에 들어가서 SRAD를 확인합니다.  아래와 같이 (64MB 정도를 제외한) 전체 CPU core 및 memory가 REF1로 이동한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.


/ # lssrad -av

REF1   SRAD        MEM      CPU

0

          0      64.25

          3       0.00

1

          1   98102.00      4-7 12-15 20-23 28-31 36-39 44-47 52-55 60-63 68-71 76-79 84-87 92-95 100-103 108-111 116-119 124-127 132-135 140-143 148-151 156-159 164-167 172-175 180-183 188-191 196-199 204-207 212-215 220-223 228-231 236-239 244-247 252-255

          2   96977.94      0-3 8-11 16-19 24-27 32-35 40-43 48-51 56-59 64-67 72-75 80-83 88-91 96-99 104-107 112-115 120-123 128-131 136-139 144-147 152-155 160-163 168-171 176-179 184-187 192-195 200-203 208-211 216-219 224-227 232-235 240-243 248-251